전주는 맛의 도시로 유명합니다. 사실 전라남북도 공히 맛에 관해서는 어느 지역 한 군데를 따질 필요가 없을 정도이긴 합니다만 전주의 경우는 음식 이름에 지명이 들어가는 몇 안 되는 지역이기도 합니다. '전주비빔밥'은 그냥 하나의 일반명사화 된 음식입니다. 물론 저는 30년 전 쯤에 전주비빔밥을 먹으러 왔다가 실망하고나서 별 생각 없이 먹었던 콩나물국밥에 놀랐던 기억이 있긴 합니다만, 그럼에도 전주비빔밥의 위상은 모든 비빔밥 중 으뜸이라고 볼 수 있을 겁니다.
전주의 음식에 대한 명성은 집에서 누구나 만들어 먹을 수 있는 흔하디 흔한 비빔밥조차도 '전주'비빔밥으로 통용시켜 버린 음식 맛에 대한 자부심 같은 것이 더해져서 널리 인정되는 것 같습니다. 전라도에 온 외지인의 경우 "아무 식당에 들어가도 평타는 친다"는 말이 괜히 있는 게 아니지만, 그 전라도 지역에서도 '맛집'으로 인정받는 곳이라면 그 맛이 출중할 것임은 의심할 필요가 없을 듯합니다.
제가 여자친구랑 방문한 곳은 그런 곳 중 하나입니다. 일단 전주의 맛집으로 널리 알려진 곳입니다. 전주 지역의 맛집을 소개하는 블로그에서 최고 등급인 별 4개를 받은 곳이기도 하고, 무엇보다도 1인분에 8천원이라는 혜자스런 가격이 돋보이는 곳이기도 합니다. 식당의 이름은 오목돌 바지락손칼국수 입니다.
오목돌 바지락손칼국수는 한옥을 기반으로 해서 지어진 실내 인테리어를 가지고 있습니다. 좌식 테이블이 있고, 입식 테이블이 있는데 좌식이든 입식이든 일단 신발은 벗어야 테이블에 앉을 수 있습니다. 신발을 신고 테이블로 올 수 있는 사람은 오직 서빙을 하시는 직원분 뿐이었습니다.(그래, 목욕탕에서도 팬티는 세신사만 입을 수 있지)
오목돌 바지락손칼국수는 식당 이름처럼 바지락칼국수 단일 메뉴로, 가격은 8,000원입니다. 7,000원이었다가 가격을 인상한 듯 유독 8자만 디지털화 되어 있는 글꼴이 눈에 띄지만 지금 라면에 김밥만 먹어도 8천원은 넘는 세상에서 바지락칼국수가 8천원이라면 그 자체로 은혜로운 가격임은 부정하기 어렵습니다. 이제 중요한 것은 메뉴의 구성과 양, 그리고 맛이겠죠.
기본 반찬 구성입니다. 칼국수가 나오기 전 꽁보리밥이 반 공기쯤 담아져서 나오고, 무생채와 비벼 먹을 수 있습니다. 배추 겉절이는 담근 지 얼마 되지 않은 듯 숨이 살아 있고, 다소 칼칼하게 매운 편이었습니다.
얼마 만에 먹어 보는 꽁보리밥인지 모르겠네요. 보리 특유의 꼬들거리는 식감이 가끔은 그리워지기도 합니다.
꽁보리밥은 무생채와 고추장 약간을 덜어내어 비벼 주었습니다. 평소 매운 걸 잘 못 먹는 편이기 때문에 고추장의 양은 아주 소량만 넣었습니다. 고추장이 많으면 맛있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겠지만, 음식을 맵게 만들면 재료 자체가 가진 고유의 맛을 가려 버리기 때문에 선호하지 않습니다. 재료가 신선하다면 그 재료가 가진 맛으로도 충분히 맛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식당에서 음식을 맵고 짜게 만든다면 그 업체는 그리 좋은 재료를 쓰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편이기도 합니다.(물론 편견일 수도 있습니다)
보리밥을 비벼 먹고나니 메인인 바지락칼국수가 나왔습니다. 이름에 어울리게 바지락이 꽤 많이 들어 있더군요. 이 사진은 2인분입니다. 1인분씩 따로 제공되지는 않고, 앞접시로 덜어 먹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런 방식은 호불호가 있을 수 있습니다. 누군가는 바지락'만' 골라서 먹는 체리피킹을 할 수도 있으니까요.
바지락은 오동통하니 살이 올라서 먹는 맛이 좋았습니다. 국은 반투명하지만 고추가 들어간 국물을 낸 것인지 약간의 칼칼한 맛이 더해져서 조개가 가진 감칠맛을 더욱 배가 시켜 주었습니다.
칼국수를 좋아하긴 하지만 서울에서 잘 먹지 않는 이유는 칼국수의 굵은 면이 가진 밀가루 맛을 제대로 잡는 식당을 찾기 어려워서이기도 합니다. 칼국수는 면발이 두꺼워서 밀가루 맛을 잡는다고 푹 익히면 면이 쉽게 퍼지고, 면의 식감을 살리려고 살짝 덜 익히면 밀가루 맛을 완전히 잡을 수 없기 때문에 그걸 아는 저에게는 쉽게 선택하기 어려운 음식이 되었습니다. 오목돌 바지락손칼국수의 칼국수에서도 약간의 밀가루 맛이 났습니다. 100% 완벽하게 잡지는 못했습니다만 그래도 그 균형점을 매우 잘 잡았다고 느꼈습니다. 게다가 서울 칼국수집의 거의 절반 가격 아닙니까!!! 이 정도 가격에 이 정도 바지락이면 밀가루 냄새 아니라 밀반죽을 줘도 먹어야 하는 겁니다.
국물은 텁텁하지 않고 깔끔했습니다. 밀가루 맛은 거의 없었고, 조개의 감칠맛이 두드러졌습니다. 평소 국을 잘 먹지 않는데 이 손칼국수를 먹으면서는 국물도 제법 많이 들이켠 것 같습니다.
바지락을 몰빵해서 욕심부린 것 같지만 전체 바지락의 20%도 안 됩니다. 작은 그릇으로 약 4~5번 정도 나눠서 먹을 수 있을 정도의 양입니다. 보리밥까지 해서 절대 적은 양은 아니더라고요. 바지락은 맛이 좋았지만 해감이 덜 된 탓인지 모래 같은 것이 간혹 씹혔습니다. 제가 식당에서 느낀 유일한 단점이었습니다.
조개무덤입니다. 2인분에 바지락이 이 정도 들어 있습니다. 제법 차곡차곡 겹치게 쌓아서 부피를 줄였는데도 그릇 하나를 가득 채울 정도로 많은 양의 바지락이 있었던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 정도로 쌓이는 바지락의 양을 보면서 '아, 한반도에는 신석기시대부터 수많은 패총이 있었더랬지. 조개의 민족인가'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오목돌 바지락손칼국수에서 식사를 마치고 나오자마자 여자친구에게 8천원으로 누릴 수 있는 최고의 호사라고 얘기했습니다. 여자친구가 많은 양을 먹질 못해 제가 거의 1.6인분 정도를 먹었고, 다 먹자마자 약국을 들러 소화제를 사 먹긴 했지만 충분히 다 먹을 만한 가치가 있는 음식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다음에 또 기회가 되면 재방문을 하고 싶은 생각이 들더군요. 전주를 자주 가지는 못하기 때문에 갈 때마다 먹을 수는 없겠지만, 전주의 맛집을 순회하다 보면 언젠가 문득 생각나 다시 가 보게 될 것 같습니다. 바지락칼국수 좋아하시는 분들에게 추천드립니다
'내돈내산 맛집탐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닭강정의 원조 속초 만석 닭강정 - 신포 보고 있나, 이게 닭강정이다 (0) | 2025.03.06 |
---|---|
인천 원조 신포 닭강정 - 맛이 변한 거니 내가 변한 거니 (0) | 2025.03.06 |
제주에서 만난 로컬 가성비 맛집 고찌가게 - 내돈내산 (0) | 2025.01.04 |
제주의 타코야끼 맛집, '타쿠야쿠' - 내돈내산 (2) | 2024.12.27 |
제주 애월 카페거리 커피숍 '봄날' - 내돈내산 (1) | 2024.12.27 |